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의 신속 선별검사로서 OraQuick HCV 신속항체 검사의 평가
Evaluation of the OraQuick HCV Rapid Antibody Test as a Screening Test for Hepatitis C Virus Infection

Laboratory Medicine and Quality Assurance 2013년 35권 2호 p.100 ~ p.106

방해인(Bang Hae-In) -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최태윤(Choi Tae-Youn) -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신정원(Shin Jeong-Won) -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박노진(Park Ro-Jin) -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박은수(Park Eun-Su) -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Abstract

배경: C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 감염의 진단을 위한 많은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선별검사는 HCV 항체검사로 효소면역법과 화학발광면역법(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CLIA)을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OraQuick HCV 신속항체검사는 혈액, 구강액을 이용하여 HCV 항체를 20분 이내 검출할 수 있는 간이검사이다. 본 연구에서는 OraQuick검사의 성능을 CLIA와 비교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2년 9월부터 2013년 1월까지 HCV검사가 의뢰된 150검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HCV 항체검사는 ADVIA Centaur 장비를 이용한 CLIA와 OraQuick 항체검사로 실시하였다. HCV 실시간 PCR 검사는 COBAS AmpliPrep/COBAS TaqMan HCV test 키트를 사용하였다.

결과: 150검체 중 HCV PCR 양성은 59검체(39.3%)였고 음성은 91검체(60.7%)였다. PCR 양성 59검체 중 모든 검체에서 CLIA 항체검사 양성이었으나 이 중 두 검체에서 OraQuick 항체검사 음성이나왔다. PCR 음성 91검체 중 50검체는 두 가지 방법 모두에서 음성이 나왔고 나머지 PCR 음성 41검체 중, 21검체는 두 가지 방법에서 양성, 20검체는 CLIA 항체검사에서 양성, raQuick 항체검사에서 음성결과를 보였다.

결론: OraQuick 항체검사는 CLIA 항체검사보다 민감도는 낮으나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고 혈액이나 구강 검체로 간편하게 검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HCV 감염관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mong the multitude of tests developed for the diagnosis of hepatitis C virus (HCV) infection, the enzyme immunoassay and the chemiluminescence immunoassays (CLIA) are the most commonly used. The OraQuick HCV Rapid Antibody Test is also popular because it can detect HCV antibodies from blood or saliva within 20 minute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performances of the OraQuick HCV Rapid Antibody Test and CLIA in the diagnosis of HCV infection.

Methods: We tested 150 serum samples from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for HCV between November 2012 and January 2013 using CLIA (ADVIA Centaur) as well as the OraQuick test. The data from both tests were compared to the results of HCV real-time PCR (COBAS AmpliPrep/COBAS TaqMan HCV test kit).

Results: We tested 150 serum samples from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for HCV between November 2012 and January 2013 using CLIA (ADVIA Centaur) as well as the OraQuick test. The data from both tests were compared to the results of HCV real-time PCR (COBAS AmpliPrep/COBAS TaqMan HCV test kit).

Conclusion: We tested 150 serum samples from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for HCV between November 2012 and January 2013 using CLIA (ADVIA Centaur) as well as the OraQuick test. The data from both tests were compared to the results of HCV real-time PCR (COBAS AmpliPrep/COBAS TaqMan HCV test kit).

키워드

Hepatitis C virus, Hepatitis C antibodies, HCV real-time PCR
원문 및 링크아웃 정보
등재저널 정보
학술진흥재단(KCI) KoreaMed 대한의학회 회원 
주제코드
주제명(Target field)
연구대상(Population)
연구참여(Sample size)
대상성별(Gender)
질병특성(Condition Category)
연구환경(Setting)
연구설계(Study Design)
연구기간(Period)
중재방법(Intervention Type)
중재명칭(Intervention Name)
키워드(Keyword)
유효성결과(Recomendation)
Although the OraQuick test showed a marginally lower sensitivity for HCV detection than CLIA, we conclude that it is still beneficial because it is rapid and can be performed using blood and saliva samples.
연구비지원(Fund Source)
근거수준평가(Evidence Hierarchy)
출판년도(Year)
참여저자수(Authors)
대표저자
DOI
KCD코드
ICD 03
건강보험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