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 이상 및 중등도 이상 무지 외반증 환자에서의 원위 갈매기형 절골술
Distal Chevron Osteotomy for Moderate to Severe Hallux Valgus Deformity in Patients Aged 50 or Older

대한정형외과학회지 2008년 43권 4호 p.445 ~ p.450

유원준(Yoo Won-Jun)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정문상(Chung Moon-Sang)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백구현(Baek Goo-Hyun)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유창훈(Yu Chang-Hun)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문혁주(Moon Hyuk-Ju)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Abstract

목 적: 50세 이상 환자에서 중등도 이상의 무지 외반증에 대한 원위 갈매기형 절골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중등도 이상의 무지 외반증 변형에 대해 원위 갈매기형 절골술을 시행받은 50세 이상(평균 58세)의 환자 19명, 26 족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3년 1개월이었다. 수술 전, 수술 후 6주, 그리고 최종 추시 시의 무지 외반각, 제 1-2중족골 간 각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교정각의 소실과 관련되는 방사선학적 인자에 대해 분석하였다. 임상적으로는 통증, 일상생활 활동능력 및 신발 착용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 과: 무지 외반각과 제 1-2중족골간 각은 비교적 만족스럽게 교정되었다. 그러나 수술 후 6주에 비해서는 교정각 소실을 보였으며 이는 수술 전 제 1중족 족지 관절의 아탈구 정도 및 제 1-2중족골 간 각과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임상적으로 통증과 일상 생활 활동 능력은 현저하게 개선되었으나 수술 후 편한 신발 대신에 딱딱한 구두를 신고 생활하는 환자는 5예에 불과하였다.

결 론:원위 갈매기형 절골술은 임상적으로 50세 이상 환자에서 중등도 이상의 무지 외반증의 치료에 유용하였다. 그러나, 수술 전 제 1중족 족지 관절의 아탈구가 심하거나 중증의 변형에서는 추시에 따라 상당한 교정 소실이 발생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distal chevron osteotomy in patients aged 50 and older with moderate-to-severe hallux valgus.

Material and Methods :The authors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of 19 patients (26 feet). Average age at time of surgery was 58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 years and 1 month. For radiological evaluation, we analyzed changes in hallux valgus angles and 1st-2nd intermetatarsal angles after index operations. Clinical results were assessed with respect to pa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hoe-wear.

Results:Hallux valgus angles and 1st-2nd intermetatarsal angles improved, but considerable correction loss occurred with time. This correction lo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reoperative subluxation of the 1st metatarsophalangeal joint and the 1st-2nd intermetatarsal angle. Clinically, remarkable improvements were achieved in terms of pain and level of activity, but most patients (except 4) still wore comfortable shoes rather than hard shoes at latest follow-ups.

Conclusion: Distal chevron osteotomy is beneficial for patients aged 50 and older with moderate-tosevere hallux valgus deformity, but correction loss may occur in patients with marked subluxation of the 1st metatarsophalangeal joint or a severe 1st-2nd intermetatarsal angle.

키워드

무지외반증, 원위 갈매기형 절골술
Hallux valgus, Distal chevron osteotomy
원문 및 링크아웃 정보
등재저널 정보
학술진흥재단(KCI) KoreaMed 대한의학회 회원 
주제코드
주제명(Target field)
연구대상(Population)
연구참여(Sample size)
대상성별(Gender)
질병특성(Condition Category)
연구환경(Setting)
연구설계(Study Design)
연구기간(Period)
중재방법(Intervention Type)
중재명칭(Intervention Name)
키워드(Keyword)
유효성결과(Recomendation)
Distal chevron osteotomy is beneficial for patients aged 50 and older with moderate-tosevere hallux valgus deformity.
연구비지원(Fund Source)
근거수준평가(Evidence Hierarchy)
출판년도(Year)
참여저자수(Authors)
대표저자
DOI
KCD코드
ICD 03
건강보험코드